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특징주

미해군 조선 관련주 5종목, 美 해군 동맹국 건조 법안 발의

by 인탭365 뉴스와 관련주 2025. 2. 13.

미해군-조선-관련주

공화당 동맹국에 허용 법안 발의

미해군 법안 조선 관련주는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미 해군함을 동맥국이 건조하는 법안인 '해군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은 조선업 약화로 중국에 전투함 숫자가 역전되는 등 해양 패권에 대한 위기감이 커지자 규제를 푼 것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미 해군 법안 조선 관련기사 바로가기 >>>

 

60년 만에 법 바꾸는 美… K조선, 美군함 건조 길 열린다

60년 만에 법 바꾸는 美 K조선, 美군함 건조 길 열린다 공화당 동맹국에 허용 법안 발의

www.chosun.com

미해군 조선 관련주 목차 

1. HD현대중공업

2. 한화오션

3. STX엔진

4. HJ중공업

5. HD한국조선해양

미해군-조선-관련주

 

1. HD현대중공업 329180   현재주가>>>

1-1 미해군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미 해군 함정 수주 가능성 확대

미 상원 공화당 의원들이 발의한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NATO 회원국 및 상호방위조약 체결국 조선소에 미 해군 함정 건조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HD현대중공업은 2024년 필리핀 연안초계함 건조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2025년 미 해군 MRO(유지·보수·개조) 사업 수주를 위한 필리조선소와의 협력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는 법안 통과 시 약 2조원 규모의 초기 물량 확보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KDDX(한국형 차기 구축함) 사업 참여

7조 8,0008,000억 원 규모의 KDDX 사업에서 HD현대중공업은 기본 설계를 주도하며, 2025년 상반기 중 초도함 건조 계약을 앞두고 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HD현대와 한화오션을 방산업체로 지정하며, 양사의 협업 체계가 구축될 경우 2030년까지 6척의 구축함 건조가 예상됩니다. 이는 국내 방산 시장뿐만 아니라 미·일을 제외한 글로벌 함정 수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친환경 선박 기술력과 실적 우위

HD현대중공업은 2024년 프랑스 CMA CGM으로부터 1만5,5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12(3조 7,160억원)7,160억 원)을 수주하며, 암모니아/수소 추진 선박 개발에서 경쟁사 대비 2년 이상 앞선 기술력을 확보했습니다. 삼성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전 세계 LNG선 시장 점유율 35%를 기록하며, 엔진 사업 부문에서도 힘센(HiMSEN) 엔진의 외부 매출이 전체 매출의 22%를 차지합니다.

1-2 사업특징

글로벌 선박 수주 1위 기업의 다각화 전략

HD현대중공업은 조선(73%), 해양플랜트(18%), 엔진기계(9%)로 사업을 다각화했습니다. 2024년 기준 수주잔고는 451억 달러로, 이 중 친환경 선박 비중이 58%를 차지합니다. 특히, 20251월 그리스 판테온사로부터 5년 만에 원유운반선 2척(2,500억원)2척(2,500억 원)을 추가 수주하며 고부가가치 선종 확대 전략을 입증했습니다.

방산 산업과의 시너지 효과

GE 에어로스페이스와 함정용 추진체계 개발 협력 MOU 체결, 캐나다 잠수함 사업 참여 등 방산 분야에서의 기술 협업을 확대 중입니다. 유진투자증권은 2025년 방산 매출이 전체의 12%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특히 미 해군 MRO 사업을 통해 연간 11조 원 이상의 매출 기여가 가능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엔진 사업의 독점적 경쟁력

힘센 엔진은 선박용 대형 엔진 시장에서 세계 점유율 1(38%)를 기록하며, 2024년 매출 3조 800800억 원을 달성했습니다. DS투자증권에 따르면, 엔진 부문의 원가 절감 효과로 조선 사업의 영업이익률을 경쟁사 대비 4~5%p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1-3 사업계획

미국 시장 공략 가속화

20251분기 중 미 해군 함정 MRO 사업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현지 법인을 통해 로비와 기술 검증을 병행 중입니다. 교보증권은 해당 사업이 성사될 경우 2026년까지 누적 55조 원 규모의 수주 실적을 예상했습니다.

친환경 선박 포트폴리오 확장

암모니아 추진 선박의 상용화를 위해 20252분기 중 시범 선박 건조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또한, 2024년 말 기준 45억 달러 규모의 LNG 운반선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2025년 추가로 3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엔진 사업의 해외 진출 강화

중동 및 동남아 시장을 대상으로 한 육상용 발전기 엔진 판매를 확대하고, 2025년 말까지 브라질 현지 공장 증설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엔진 부문의 해외 매출이 20241조 2,000억원에서 202518,000억원으로 5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미해군-조선-관련주

 

 

2. 한화오션 042660   현재주가>>>

2-1 미해군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미 해군 MRO 사업 수주 실적 및 향후 수요 확대

20248월 한화오션은 국내 조선사 최초로 미 해군 군수지원함 '월리 시라' 정기정비 사업을 수주했으며, 3개월 만인 11월 추가로 유콘급 유조함 정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는 미국 국방부가 인도-태평양 지역에 군사 정비 허브를 구축하는 정책(RSF)과 맞물려 향후 2020조 원 규모의 연간 MRO 시장 진입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20252월 현재 미 태평양함대 사령관이 한화오션 지오제 공장을 방문해 추가 협력 논의한 점도 긍정적 신호로 분석됩니다.

미국 공화당 발의 법안의 직접적 수혜 기대

202525일 미 공화당 상원의원이 제출한 '해군준비태세 보장법(Ensuring Naval Readiness Act)'NATO 회원국 및 인도-태평양 동맹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 건조를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한화오션은 2024년 필라델피아 조선소(Philly Shipyard) 인수로 현지 생산 인프라를 확보한 상태이며, 20247월 미 해군 MSRA(주요 선박정비협정) 인증을 획득해 기술 경쟁력을 입증받았습니다. 이 법안 통과 시 355척 함대 확장 목표 달성을 위한 약 242242조 원 규모 예산 중 상당 부분을 한국 조선사가 수주할 가능성이 큽니다.

군함 건조 역량과 방산 수출 연계 효과

한화오션은 20244월 국내 최초 3,000톤급 잠수함 건조를 완료하며 군함 제작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20251월 발표된 연간 실적에서 특수선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23% 증가한 3.23.2조 원을 기록했으며, 이 중 78%가 방산 수주로 구성되었습니다. 미국의 동맹국 조선소 활용 법안은 민군겸용 기술을 보유한 한화오션이 상업선박과 군함 건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2-2 사업특징

세계적 수준의 군함 MRO 기술력

20247월 미 해군으로부터 MSRA 인증을 획득하며 40,000톤급 군수지원함 정비 능력을 공식 인정받았습니다. 20252월 기준 총 4척의 미 해군 함정 정비 계약을 수행 중이며, 정비 기간 단축을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한 가상 검증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는 기존 대비 정비 기간을 17% 단축시키는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친환경 선박 기술 선점

202523일 미국 베이커 휴즈와 암모니아 가스 터빈 공동 개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2028년까지 LNG 운반선에 100% 암모니아 연소 가능한 추진 시스템 상용화를 목표로 하며, 20239월 미국선급(ABS)으로부터 기본 설계 승인(AIP)을 획득한 바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친환경 선박 수주 비중이 전체 민수선 매출의 41%를 차지하며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양 플랜트 사업 다각화

202412월 싱가포르 해양 플랜트 전문기업 다이나맥 홀딩스 지분 21.5%를 인수하며 부유식 LNG 생산설비(FLNG) 분야 진출을 가속화했습니다. 20251월 기준 해양 부문에서 2.82.8조 원 규모의 신규 수주를 달성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한 수치입니다. 특히 북해 지역 해상 풍력발전 기자재 납품 계약이 전체 해양 매출의 34%를 차지하며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2-3 사업계획

미국 시장 공략 확대

2025년 필라델피아 조선소 가동률을 78%까지 끌어올려 연간 6척의 상업용 컨테이너선 건조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202411월 미 국방부와 체결한 전략적 협력 각서(MOU)에 따라 20252분기 중으로 22조 원 규모의 구축함 건조 입찰에 참여할 예정입니다. 또한 2026년까지 미 해군 MRO 시장 점유율 15% 달성을 목표로 현지 법인 직원 수를 340명에서 850명으로 확대합니다.

초대형 LNG선 수주 경쟁력 강화

2025118CBM(입방미터)급 초대형 LNG선 기본설계를 완료하며 기존 대비 화물 적재량을 12% 증가시켰습니다.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을 접목한 '넷제로 LNG' 개발에 2025년 32003200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며, 20244분기 기준 LNG선 수주 물량이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한 11척을 기록했습니다. 2025년 목표 수주액은 13.5조원으로, 이 중 LNG선 비중을 62%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디지털 조선소 혁신 가속

20256월까지 지오제 조선소에 스마트 블록 조립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IoT 센서와 AI 품질관리 시스템을 접목해 선체 블록 조립 정확도를 99.2%까지 향상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는 조선 공정 기간을 14%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202412월 기준 디지털 전환(DX) 투자액이 287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0% 증가했으며, 2025년에는 생산성 19%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미해군-조선-관련주

 

 

3. STX엔진 077970   현재주가>>>

3-1 미해군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군수 산업 분야의 기술력과 수주 실적

STX엔진은 국내 유일의 K-9 자주포 엔진 국산화를 완료한 기업으로, 방위사업청과 연간 500억 원 이상의 공급계약을 체결한 바 있습니다. 또한 폴란드와 이집트 등 해외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로 2024년 기준 방산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45%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실적은 미 해군 협력 법안 발표 시 방산 수요 확대 기대감에 직접적으로 연결됩니다.

선박용 엔진 시장에서의 경쟁력

STX엔진은 대형 컨테이너선 및 LNG선에 탑재되는 고출력 디젤엔진 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43분기 기준 선박용 엔진 수주액은 3,20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증가했습니다. 특히 친환경 선박엔진 개발로 유럽 시장 진출을 확대 중인 점이 해외 조선사와의 협력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수출 기반 확대 전략

20249월 폴란드와 체결한 5,400억 원 규모의 엔진 공급 계약, 20251월 이집트와의 1,285억 원 규모 계약 등 대형 해외 수주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는 동맹국 간 군사·조선 협력 강화 흐름에서 STX엔진의 입지를 공고히 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3-2 사업특징

민수·방산·전자통신의 3축 사업 구조

민수 사업부문에서는 선박용 엔진(매출 비중 55%)과 육상발전용 엔진(25%)을 생산하며, 방산 부문에서는 K-9 자주포 엔진 및 함정용 엔진을 공급합니다. 전자통신 분야에서는 해군 레이다 및 기상 레이다 시스템 개발로 매출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전체 매출 중 방산 부문이 35%를 차지하며 성장세가 두드러집니다.

군수용 엔진의 기술 독립성

국방부로부터 '2023년 연구개발 우수성과'로 선정된 K-9 자주포용 1,000마력 엔진은 수입 대체 효과를 창출했습니다. 이 엔진은 기존 독일제 대비 내구성이 20% 향상되었으며, 2024년 한 해 동안 320대가 납품되어 1,2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친환경 기술 선점을 통한 시장 대응

20239월 독일 MANMAN에너지설루션과 공동 개발한 메탄올 연료 친환경 엔진(L35/44DF CD) 시동에 성공했습니다. 이 엔진은 기존 대비 탄소 배출량을 40% 감축하며, 2025년 상반기부터 본격 양산될 예정입니다.

3-3 사업계획

친환경 선박엔진 시장 선점

2025년까지 메탄올·암모니아 연료 엔진 상용화를 목표로 연구개발 예산을 120억 원 투자할 계획입니다. 20244분기 덴마크 Maersk와의 시범 설치 계약을 통해 실적 연계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방산 수출 다변화

K-9 자주포 엔진을 중동 및 동유럽 시장에 확대 공급할 방침입니다. 202412월 사우디아라비아와 체결한 800억 원 규모의 엔진 유지보수 계약을 시작으로, 2025년에는 폴란드 추가 수주(예상 규모 2,000억 원)를 추진 중입니다.

수주 잔고 관리 강화

2024년 말 기준 수주 잔고는 12,000억 원으로, 이 중 65%2025년 이후 매출로 연결됩니다. 특히 중국 조선소 대상 엔진 공급 비중을 30%에서 50%로 확대해 매출 안정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미해군-조선-관련주

 

 

4. HJ중공업 097230   현재주가>>>

4-1 미해군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해군 함정 MRO(유지·보수·정비) 사업의 실적 확대

HJ중공업은 국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해군 유도탄고속함 18척의 성능개량 사업(1,247억 원)과(1,247억원) 독도함·고속상륙정 창정비 사업(677억 원)을(677억원) 연이어 수주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특히 202412월 해군 창정비 사업 수주로 인한 상한가 기록은 시장의 신뢰를 반영했으며, 이는 미군 함정 MRO 시장 진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으로 이어졌습니다.

친환경 선박 기술력과 수주 실적

7900TEU급 친환경 컨테이너선 8(1조 2,0002,000억 원 규모) 수주를 통해 LNG 이중연료 추진 기술과 메탄올 레디 설계를 확보했습니다. 이는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대응 능력을 인정받은 사례로, 향후 미 해군의 친환경 함정 수요 증가 시 경쟁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방산·특수선 분야의 전문성

대형수송함(LPH-I)과 고속상륙정(LSF-II) 등 국방 분야에서의 기술 축적은 미국 동맹국 조선소 요건인 '중국 기업 비관여' 조건을 충족하는 데 유리합니다. 실제 HJ중공업은 2024년 방산 수주액이 전년 대비 300% 증가하며 방산 특화 기업으로서 입지를 강화했습니다.

4-2 사업특징

조선·건설 양대 사업의 균형 발전

2024년 기준 조선부문 매출 비중 33.5%, 건설부문 65.4%, 공항·철도·항만 등 대형 인프라 사업(: 세부 신항만 건설, 2,820억 원)과억원) 컨테이너선·특수선 건조를 병행하며 리스크 분산 전략을 추구합니다. 특히 도시정비사업(재개발·재건축)의 수주액은 연평균 20% 성장하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MRO 사업의 고부가가치화

창정비(분해·점검·수리) 사업은 매출 대비 영업이익률이 15~20%로 신조선 대비 2배 이상 높습니다. 2024년 해군 MRO 사업에서 2,0002,000억 원 이상 수주하며, 이 분야의 기술력이 미군 시장 개방 시 경쟁 우위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환경규제 선제 대응

LNG 추진선과 스크러버(탈황설비) 탑재 선박의 비중이 70%를 넘어섰습니다. 2025IMO 탄소중립 목표에 대비해 메탄올·암모니아 연료 전환 기술을 개발 중이며, 이미 유럽 선사와 7,900TEU7,900 TEU급 메탄올 레디 선박 4척을 추가 수주(6,067억 원)한(6,067억원) 바 있습니다.

4-3 사업계획

미국 해군 시장 공략 확대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발의를 계기로 NATO 회원국 또는 상호방위조약 체결국 조선소 협력 요건에 부합하는 사업 구조를 강화합니다. 특히 중국 기업과 무관한 지분 구조와 20249조 3,0003,000억 원의 수주 잔고를 바탕으로 미군 함정 건조·정비 수요를 적극 공략할 예정입니다.

친환경 선박 R&D 투자 확대

2025년 상반기 중 액화수소 추진 선박 기본 설계를 완료하고, 2026년까지 탄소 포집·저장(CCS) 기술을 적용한 실증선 건조를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영국 선급(LR)과의 기술 제휴를 확대하고,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친환경 선박 수주 비중을 50%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건설 부문의 수익성 개선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공 인프라(: GTX-B노선 4,7004,700억 원 수주)와 주택 정비 사업에 집중합니다. 2025년 말까지 수주 잔고를 1010조 원으로 확대하고, 영업이익률 5% 달성을 통해 3년 연속 적자에서 탈피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설정했습니다.

미해군-조선-관련주

 

 

5. HD한국조선해양 009540    현재주가>>>

5-1 미해군 조선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미국 조선산업 지원 정책의 직접적 수혜 기대

20252,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이 발의한 '해군준비태세 보장법'은 동맹국 선박 건조 허용을 주요 내용으로 합니다. HD한국조선해양은 HD현대중공업(자회사)을 통해 미국 해군의 함정 건조 경험이 있으며, 해당 법안 통과 시 미국 시장 진출 확대가 예상됩니다. 2025210일자 기사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이미 2028년까지 LNG 벙커링선 4척을 수주한 바 있어 기술력 인정을 받은 상태입니다.

글로벌 조선 수주 잔고 1위 기업으로서의 경쟁력

20247월 삼성증권 리포트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은 2024년 기준 135억 달러 규모의 수주 목표를 89.7% 달성하며 업계 최고의 수주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친환경 선박(메탄올 추진선, 액화이산화탄소운반선) 분야에서 40% 이상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미국의 탄소 중립 정책과 시너지 가능성이 큽니다.

국방 사업 확장을 통한 안정적 수익 창출

20246, HD현대중공업은 폴란드 해군 차기 잠수함 사업인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를 위해 기술 협력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2025114일 삼성증권 리포트는 HD한국조선해양의 국방 매출 비중이 202515%까지 확대될 전망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미 해군 법안과 연계해 군함 수요 증가에 대비한 전략적 포지셔닝으로 해석됩니다.

5-2 사업특징

친환경 선박 기술의 선도적 개발

2025210, HD현대미포는 LNG 벙커링선 4척 추가 수주를 발표하며 STS(Ship To Ship)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했습니다. 이 기술은 항만 인프라 없이 해상에서 대량 LNG 공급이 가능해, 글로벌 탄소 규제 강화 시장에서 경쟁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수주 다각화를 통한 리스크 관리

202471, 아프리카 선사와 PC(석유화학제품 운반선) 4척 계약 체결(2,667억원)을 발표했습니다. 컨테이너선, LNG선 외에도 PC선 등 다변화된 수주 포트폴리오를 구축해 경기 변동성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혁신을 통한 생산성 개선

2024626, 울산대학교와 함정 특화 인재 양성 및 핵심 기술 개발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로봇·자동화 설비 투자를 통해 20241분기 영업이익률 2.9%를 기록하며, 전통적 조선업의 한계를 극복 중입니다.

5-3 사업계획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현지 투자 확대

2024529, 필리핀 수빅 야드 임차를 통해 MRO(유지·보수·운영) 사업 기반을 강화했습니다. 미국 현지 조선소 투자 검토도 진행 중이며, 인력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로봇 공정 자동화 기술을 적용할 예정입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 사업 다각화

2024513, 테라파워와 해상 원자력 발전선(SMR) 공동 개발을 위한 협의를 시작했습니다. 20247월 1일자 기사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 기본설계 참여를 통해 신규 수익원을 창출할 계획입니다.

군함 수주 확대를 통한 안정성 강화

2024621, 페루 SIMA 조선소와 함정 3척 건조 기술 협력을 체결했습니다. 2025년까지 남미·호주 지역에서 총 11척의 군함 수주를 목표로 하며, 국방 매출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릴 방침입니다. 이상의 내용은 최근 12개월 이내 발표된 공시·리포트·뉴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투자 결정 시 추가적인 데이터 검증을 권장드립니다.

 

현대차 휴머노이드 로봇 관련주 6종목

현대차 하반기 아틀라스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 투입 현대차 로봇 관련주는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보스턴다이내믹스가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아틀라스'가 자동차 생산 현장에 투입된다는

intap365.com

 

 

완성차 로봇 관련주 5종목

완성차 기업 휴머노이드 로봇 생산 현장 활용완성차 로봇 관련주는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인공지능 AI 기업들과 협업을 통해 로봇을 개발하고, 자동차 부품, 운반, 검사까지 생산 전 단계에서

intap365.com

 

 

챗GPT AI로봇 관련주 6종목, 휴머노이드용 하드웨어 출시

챗GPT AI로봇 관련주가 한국을 방문한 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한국 기업과 로봇 협력을 원한다고 밝혔는데, 오픈AI는 미국 특허청에 AI 단말기에 대한 상표를 출원하면서, 여기에는 사용자가 프로

intap365.com

 

 

미해군-조선-관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