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는 인공지능 AI 성장에 따라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력 효율에 최적의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꿈의 기판'이라고 불리는 유리기판 기술력 확보를 위해서 삼성·SK·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상용화를 위한 양산을 준비하면서 연일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고성능 반도체 핵심’ 유리기판… 삼성·SK·LG 열전
데이터 처리 속도 획기적 높여삼성, 2027년 본격 양산 계획SK, 올 하반기 고객사 테스트LG “올해말 시제품 양산 시작”인공지능(AI) 시장 성장 여파로 고성능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
www.munhwa.com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 목차
1. 나인테크 267320 현재주가>>>
1-1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차세대 유리기판용 WET 공정 장비 기술 확보
나인테크는 팬아웃 패널 레벨 패키징(FO-PLP) 및 유리기판용 습식(WET) 공정 장비 개발을 최근 완료했습니다. 이 장비는 열 팽창으로 인한 기판 휨 현상을 제어하고 얇은 두께의 유리기판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로, 삼성전자와 TSMC가 주목하는 FO-PLP 방식의 핵심 설비입니다. 특히 유리관통전극(TGV) 공정 검증을 마치며 기술적 완성도를 입증받았습니다.
② 글로벌 반도체 업체와의 실적 기반
지난 3년간 해외 반도체 기업 및 글라스 코어기판 전문 업체에 FO-PLP용 습식 장비를 1,000만 달러 규모로 납품한 경험이 있습니다. 이는 TSMC가 엔비디아 AI 반도체 패키징에 적용할 유리기판 장비 수요 증가 시, 나인테크가 선제적으로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토대가 되고 있습니다.
③ 산업통상자원부 국책 과제 주관 기업 선정
2024년 말 디지털트윈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공정기술 개발 과제의 주관기관으로 선정되며 기술 인정을 받았습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배터리 생산 공정의 데이터 수집·분석 역량을 강화했고, 이는 유리기판 장비의 정밀 제어 기술과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됩니다.
1-2 사업특징
① 이차전지 장비 분야의 전문성
LG에너지솔루션에 라미네이션·스태킹 장비를 공급하며 축적한 롤투롤(Roll-to-Roll) 기술이 강점입니다. 2023년 639억 원 규모의 LG전자 수주를 통해 단일 계약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으며, 전극 두께 오차를 1μm 이하로 줄이는 고정밀 공정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② 반도체 패키징 장비 다각화
기존 이차전지 사업뿐 아니라 반도체 후공정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2022년 실리콘박스(SILICON BOX)에 패널 레벨 패키징 장비를 납품하며 실적을 쌓았고, 2025년 상반기 기준 유리기판 장비 매출 비중을 20%까지 끌어올렸습니다.
③ 디지털트윈 기술 접목
배터리 제조 공정의 디지털 혁신을 위해 센싱 장치와 AI 분석 소프트웨어를 개발 중입니다. 생산라인의 에너지 소모량을 15% 절감하고 품질 불량률을 7% 개선한 성과가 있으며, 이 기술을 유리기판 공정 모니터링에 적용할 계획입니다.
1-3 사업계획
① 유리기판 장비의 본격 상용화 준비
2025년 2월 기준 파일럿 설비 제작을 완료했으며, 연내 양산 라인 증설을 검토 중입니다. DSCC에 따르면 2030년 글로벌 유리기판 시장 규모가 4조 2,700억 원에 달할 전망으로, 삼성·SK와의 협업을 통한 장비 공급 확대가 핵심 과제입니다.
②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 진출
무방전 파쇄 장비와 전극 분리 장비를 개발해 폐배터리 재활용 업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존 습식 공정 대비 처리 시간을 90% 단축하고 화재 위험을 제거한 기술로, 2024년 말 기준 120억 원 규모 수주를 달성하며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중입니다.
③ 열전소자 기반 냉각 기술 사업화
CES 2025에서 고효율 열전 모듈을 공개하며 주목받았습니다. AI 서버용 냉각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으며, 2026년까지 자회사 에너지를11 통해 연간 500억 원 매출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해당 기술은 전고체 배터리 열관리 분야에도 적용될 예정입니다. 나인테크는 이차전지·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의 3대 축을 바탕으로 유리기판이라는 신기술에 투자해 장기 성장 토대를 마련 중입니다. 최근 3개월 간 기관 순매수 비중이 12%를 넘어섰다는 점에서 시장의 기대감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유리기판의 대량 생산이 본격화되는 2025년 하반기 이후 실적 가속화 여부가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2. 한빛레이저 452190 현재주가>>>
2-1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유리기판 핵심 장비 기술 보유
한빛레이저는 유리기판 제조 공정의 핵심인 TGV(Through Glass Via) 기술을 독점적으로 확보했습니다. TGV는 유리기판에 미세 홀을 가공하는 기술로, 반도체 패키징의 핵심 공정입니다. 2024년 상반기 글로벌 기업에 TGV 장비를 최초로 납품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으며, 이는 삼성전자 및 외국 반도체 업체와의 협력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② 삼성그룹 생태계 내 협력 강화
삼성전자가 유리기판 사업을 본격화하며, 한빛레이저는 삼성SDI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 중입니다. 삼성SDI는 한빛레이저의 2대 주주로 20% 지분을 보유 중이며, 2023년 삼성SDI의 대규모 양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용 설비를 구축하는 등 협업을 강화해 왔습니다.
③ 반도체·이차전지 사업의 시너지 효과
한빛레이저는 유리기판 장비 외에도 2차전지 공정 장비 사업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2차전지 장비 매출이 전체의 60%를 차지하며, 유리기판 사업과의 기술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시장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 특히 46파이 원통형 배터리용 와인더 장비 개발로 테슬라 등 글로벌 고객사 수주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2-2 사업특징
① 레이저 기술 기반의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
주력 제품인 레이저 웰딩 및 커팅 장비는 이차전지와 자동차 제조 공정에 필수적으로, 고객 맞춤형 설계로 차별화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특히 AI 기반 머신비전 기술을 접목해 공정 정확도를 극대화하며, 2024년 말까지 자체 개발한 4kW 사각빔 광원을 적용한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② 이차전지 시장 선점을 통한 성장 동력 확보
국내 2차전지 레이저 설비 시장에서 독점적 위치를 차지하며, LG에너지솔루션·SK온 등 주요 배터리 업체에 장비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중 전기차용 롤투롤 필름 가공기 양산 체계를 완성할 계획이며, 직렬형 충방전 시스템 개발로 에너지 효율을 25% 개선했습니다.
③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인프라 구축
2024년 미국·대만·일본 현지 법인을 설립해 해외 시장 진출을 가속화 중입니다. 2023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15%이지만, 2026년까지 35%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했으며, 인텔의 유리기판 양산 계획에 맞춰 샘플 공급을 진행 중입니다.
2-3 사업계획
① 유리기판 장비 사업 본격화
2025년 2분기 중 삼성전자에 유리기판 샘플 공급을 목표로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0.3mm 두께의 유리기판에 미세 회로를 형성하는 레이저 식각 기술을 적용해 공정 효율성을 검증할 예정이며, 성공 시 연간 120억 원 규모의 수주가 예상됩니다.
② 2차전지 장비 시장 다각화
2025년 말까지 충방전기(2차전지 활성화 장치) 신제품 출시를 준비 중입니다. 기존 대비 에너지 효율을 25% 개선한 제품으로, 국내외 배터리 업체 5곳과 시제품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 전기차 업체와의 협업을 통해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입니다.
③ AI 기반 스마트 팩토리 구축
레이저 장비에 인공지능(AI) 품질 검사 시스템을 접목해 불량률을 0.1% 미만으로 낮추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2025년 3분기까지 50억 원을 투자해 자체 연구소를 확장하고, 삼성전자 DS 부문과의 기술 교류를 통해 데이터 최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3. HB테크놀러지 078150 현재주가>>>
3-1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유리기판 검사·리페어 장비 공급 실적
HB테크놀러지는 SKC의 자회사 앱솔릭스에 유리기판 검사 장비를 공급한 이력이 있습니다. 앱솔릭스는 미국 조지아주에 유리기판 생산 공장을 설립하고 2024년부터 양산을 시작했는데, HB테크놀러지는 이 공정에 필요한 고정밀 검사 및 수리 장비를 납품했습니다. 2μm 및 10μm 패턴 검사기, 레이저 리페어 장비 등 공정 난이도가 높은 유리기판 생산의 핵심 장비를 제공하며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② AI 기반 검사 기술 경쟁력
HB테크놀러지는 삼성디스플레이 OLED 검사장비 시장에서 9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쌓은 노하우를 바탕으로 AI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자동광학검사(AOI) 장비를 개발했습니다. 이 기술은 유리기판의 미세 결함을 정밀하게 검출하는 데 활용되며, 삼성SDI의 2차전지 검사장비 납품 성공 사례에서도 그 효율성이 입증되었습니다. AI를 통한 데이터 처리 속도와 정확도 향상은 고객사 확보에 유리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반도체 업체와의 협력 가능성
인텔, 엔비디아, AMD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유리기판 도입을 검토 중인 가운데, HB테크놀러지는 SKC 앱솔릭스뿐만 아니라 삼성전기, LG이노텍 등 국내 유리기판 생산업체와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년 앱솔릭스의 생산능력 증설에 따라 유리기판 장비 매출이 최대 10배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되며, 이는 향후 성장 동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3-2 사업특징
① 디스플레이 검사장비 시장 리더십
HB테크놀러지는 OLED 전공정 검사장비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의 협력을 통해 0.4μm 단위의 미세 결함까지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했으며, 이는 국내외 경쟁사 대비 차별화된 강점으로 작용합니다. 최근 중국 BOE, CSOT 등 해외 업체와의 거래도 확대하며 시장 다각화를 추진 중입니다.
② 2차전지·반도체 분야 사업 확장
주력 사업인 디스플레이 장비 외에도 2차전지 통합외관검사기, 반도체 패키징용 PCB 검사장비 등 신규 사업을 적극 개발 중입니다. 2024년 기준 2차전지 검사장비 매출은 전년 대비 3배 증가했으며, 삼성SDI와의 협력을 통해 향후 추가 수주가 예상됩니다. 이는 단일 산업 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의 일환으로 평가됩니다.
③ 기술 혁신을 통한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HB테크놀러지는 레이저 가공 및 롤 스탬핑 기술을 활용해 도광판, 확산판 등 디스플레이 부품 소재를 제조합니다. 특히 유리기판 검사 장비에 AI 알고리즘을 접목해 처리 속도와 정확도를 향상시켰으며, 이 기술을 반도체 패키징 분야에 적용해 고객사 확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3-3 사업계획
① 유리기판 장비 시장 공략 가속화
2025년을 기점으로 유리기판 검사·리페어 장비의 양산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SKC 앱솔릭스 외에도 삼성전기, LG이노텍 등과의 협력을 통해 연간 30대 이상의 장비 납품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의 생산능력 증설에 따른 수요 증가를 감안할 때, 이 분야에서의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② AI 기술 적용 영역 확대
AI 딥러닝 기반 검사 시스템을 2차전지 및 반도체 분야로 확장할 예정입니다. 2024년 삼성SDI에 공급한 2차전지 검사장비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자동차용 배터리 검사 시장 진출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패키징 공정의 미세 결함 검출 정확도 향상을 위해 생성형 AI 모델을 도입해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입니다.
③ 글로벌 시장 개척
중국 BOE, 일본 JDI 등 해외 디스플레이 업체와의 협력을 확대해 수출 비중을 2025년까지 50%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유럽 및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반도체 검사장비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지 법인 설립을 통한 기술 지원 및 사후 관리 체계 구축에 나설 예정입니다.
4. 피아이이 452150 현재주가>>>
4-1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유리기판 검사 솔루션의 기술 독점성
반도체 유리기판의 품질 검증을 위한 비파괴 CT 검사 기술과 AI 기반 분석 시스템을 결합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리기판은 미세한 결함도 허용되지 않는 고정밀 소재인 만큼, 검사 기술의 정확도가 생산 효율을 좌우하는데, 피아이이는 TGV(Through Glass Via) 내벽 검사까지 가능한 기술로 업계 경쟁력을 인정받았습니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가 유리기판 사업 진출을 위해 소부장 기업들과 협력 중인 가운데 피아이이가 검사 공정 파트너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습니다.
② AI 비전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머신 비전(2D/3D)과 딥러닝 알고리즘을 결합한 AI 비전검사 기술은 배터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다방면에서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반도체 패키징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결함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시스템은 삼성전자 DS부문의 고도화된 생산 라인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검사 방식 대비 검출율 20% 이상 향상이라는 실적을 바탕으로 한 기술적 우위 때문입니다.
③ 주요 기업과의 협력 네트워크
SK그룹,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등과의 협력을 통해 사업 영역을 확장해왔습니다. 최근에는 SKC 자회사인 앱솔릭스의 유리기판 스마트 공장 구축 프로젝트에 검사 솔루션을 공급하며 기술 협력 관계를 강화했습니다. 또한, 삼성증권이 피아이이의 코스닥 상장을 주관하며 **"AI 반도체와 HBM 검사 분야의 성장 가능성"**을 투자 매력점으로 지적한 바 있습니다.
4-2 사업특징
① AI 기반 비전검사 솔루션의 다각화
원통형·각형·파우치형 등 모든 유형의 이차전지 검사부터 반도체 패키징 검사까지 전 공정 커버리지를 확보했습니다. 특히 46파이 원통형 배터리 검사 솔루션은 LG에너지솔루션 난징 공장에 도입되어 신제품 양산 효율을 극대화한 사례가 대표적입니다.
② 비파괴 검사 기술의 상용화 추진
초음파, X-ray, CT를 활용한 내부 결함 검출 기술을 배터리와 반도체 분야에 접목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공동 개발 중인 TGV 검사 장비는 유리기판의 미세 구조 분석이 가능해 차세대 반도체 소재 검증 시장에서 선점 효과가 예상됩니다.
③ 데이터 기반 스마트팩토리 통합 관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설비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분석해 예측 정비와 공정 최적화를 지원하는 Manufacturing Intelligence 플랫폼을 운영 중입니다. SK이노베이션의 AI 학습형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사례에서 15% 이상의 생산성 향상 효과를 입증하며 신규 수주 실적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4-3 사업계획
① 반도체 검사 시장 본격 진출
2025년 상반기 중 반도체 패키징 검사 솔루션 양산 체계를 완성할 예정입니다. 특히 HBM(고대역폭메모리)의 열적 결함을 감지하는 적외선 열화상 기술을 개발 중이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샘플 공급을 통해 기술 검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②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앱솔릭스 유리기판 공장에 검사 장비를 공급하는 것을 시작으로, 북미·유럽 시장 진출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또한 중국 내 배터리 업체 대상 비전검사 솔루션 매출 비중을 2025년 말까지 40% 이상으로 높인다는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③ 신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의료기기 및 바이오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초음파 진단 장비 검사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최근 국내 주요 의료기기 업체와 MOU를 체결하며 2026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기존 제조업 중심 매출 구조를 혁신하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으로 해석됩니다.
5. 아이씨디 040910 현재주가>>>
5-1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첨단 유리기판 제조 기술 보유
아이씨디는 반도체 패키징용 유리기판 제조에 필수적인 건식 식각장비(HDP Etcher) 기술을 독점적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고밀도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해 유리 기판의 미세 회로 가공 정밀도를 극대화하는 기술력이 인정받아 SKC의 자회사인 앱솔릭스와 협력 관계를 구축했습니다. 이는 유리기판 양산 공정의 핵심 장비를 공급하는 주체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②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 강화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주요 패널 제조사와의 오랜 협력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에는 SKC 및 앱솔릭스와의 협력을 통해 미국 조지아주 유리기판 공장에 장비를 납품했습니다. 특히, 인텔과 AMD 등 글로벌 기업들의 유리기판 도입 움직임이 가속화되면서 아이씨디의 기술력이 해외 시장에서도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③ 지속적인 R&D 투자와 정부 지원
아이씨디는 매출액의 약 7%를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유리기판 관련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해 정부로부터 100억 원 규모의 지원을 받아 기술 개발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향후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5-2 사업특징
① 디스플레이 장비 분야의 전문성
아이씨디는 AMOLED 및 TFT-LCD 패널 제조에 필요한 건식 식각장비와 플라즈마 증착 장비를 주력으로 생산하며, 국내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지속적으로 장비를 공급하며 기술 신뢰도를 입증했습니다.
②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사업 확장
유리기판 사업 외에도 반도체 후공정 장비 및 2차 전지 소재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나노 실리콘 제조 기술을 개발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와의 협력을 통해 2차 전지 시장 진출을 모색 중입니다.
③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중국 BOE, CSOT 등 해외 패널 업체들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미 및 유럽 시장을 겨냥한 유리기판 장비 수출 계획을 수립해 중장기 성장 동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5-3 사업계획
① 유리기판 장비 양산 체계 구축
2026년을 목표로 유리기판 전용 식각장비의 본격적인 양산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현재 세종사업장에 시험 라인을 구축 중이며,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통해 고성능 AI 반도체용 유리기판 공급망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② 신사업 분야 투자 확대
의료 헬스케어 분야로의 진출을 위해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2차 전지 소재 사업의 본격화를 위해 비에스지머티어얼즈와의 협업을 통해 양산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③ 글로벌 공급망 강화
미국과 유럽 시장을 중심으로 유리기판 장비 수출 확대를 위한 해외 법인 설립을 검토 중입니다. 특히, 인텔과의 기술 협력 논의를 통해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의 파트너십 강화에 주력할 방침입니다.
2차전지 관련주: 트럼프 IRA 제한 선별적 중단
IRA 예산 제한적, 중단 크지 않아2차전지 관련주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전기차 보조금 전면 폐지를 밝혔으나, 해정명령으로 이미 입법된 법안을 전면 폐지나 무효화가 불가능할
intap365.com
빌 게이츠 발언 양자암호 관련주 6종목
3~5년 안에 상용화 가능성 양자암호 관련주가 MS의 공동 창업자 빌 게이츠가 "마이크로소프트도 양자컴퓨터를 추진 하고 있고, 3~5년 후에는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될 것이며, 엔비디아 젠슨 황이
intap365.com
오픈AI 반도체 관련주 6종목, 데이터센터 추가 건설
오픈AI 반도체 관련주는 AI인프라 강화에 5,000억달러가 들어가는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가 참여하는 스타게이트에 삼성전자가 오픈AI에 반도체를 공급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오픈AI에서 미
intap365.com
'오늘의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해군 조선 관련주 5종목, 美 해군 동맹국 건조 법안 발의 (0) | 2025.02.13 |
---|---|
美 데이터센터 전력설비 관련주 6종목, 관세는 기회 (2) | 2025.02.13 |
K-방산 영업익 3조, 방위산업 관련주 6종목 (2) | 2025.02.12 |
1000배 빠른 양자암호 관련주 5종목, 도쿄대·NTT 공동 개발 (8) | 2025.02.12 |
중동 의료기기 관련주 4종목, 작년 수출 8000만 달러 (2) | 2025.02.11 |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 6종목, 초기 물량 800만대 예상 (2) | 2025.02.10 |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5종목 (4) | 2025.02.10 |
SK 로봇 관련주 5종목,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축에 투입 (8)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