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더블 아이폰 관련주는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가 UDN이 Wccf테크를 인용한 보고서를 토대로 애플이 내년 가을 첫 번째 폴더블 아이폰을 800만 대 수준으로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으로 장중 주목을 받았습니다. 보고서에서는 2027년까지 출하량을 2000만대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합니다.
내년 가을 공개되는 폴더블 아이폰…초기 물량 800만대 예상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내년 가을 공개될 것으로 보이는 폴더블 아이폰 초기 물량이 800만대 가량으로 전망된다.10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대만 매체 UDN이 Wccf테크(Wcc
www.newsis.com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 목차
1. 하이비젼시스템 126700 현재주가>>>
1-1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폴더블 아이폰 카메라 모듈 검사장비의 압도적 점유율
최근 애플은 폴디드줌 기술을 적용한 카메라 모듈을 폴더블 아이폰에 탑재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이비젼시스템은 해당 모듈의 검사 장비를 90% 이상 공급하며, 2023년 아이폰15 Pro Max에 이어 2024년 출시 예정인 16세대 모델에서도 독점적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동사가 애플의 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는 R&D 역량을 보유했기 때문입니다.
② 인도 생산라인 확대를 통한 수혜 예상
애플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인도로 생산 거점을 이동하면서, 하이비젼시스템은 현지 법인 설립을 완료했습니다. 주요 고객사인 폭스콘이 인도에 26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확정한 점도 동사의 인도 시장 진출 가속화에 긍정적입니다. 2024년 인도향 매출은 전년 대비 1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③ AR/XR 및 22차 전지로의 사업 다각화
단순히 스마트폰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하이비젼시스템은 애플의 MR 기기인 비전 프로 검사장비 수주를 확보했으며, 2024년 3월에는 세방리튬배터리와 93억 원 규모의 2차전지 생산라인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또한 반도체 웨이퍼 검사장비 개발로 신성장동력을 마련 중입니다.
1-2 사업특징
① 카메라 모듈 검사 분야의 기술 선도성
동사는 20년 이상 축적된 영상처리 알고리즘과 액티브 얼라인 기술을 바탕으로 전 세계 스마트폰 카메라 검사장비 시장에서 7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소형 모듈의 정밀 검사가 가능한 HVT-305 시리즈는 삼성전자와 LG이노텍 등에 납품되며 기술적 우위를 입증했습니다.
② 고부가가치 서비스 매출의 지속적 성장
검사장비 판매뿐 아니라 장비 유지보수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로 구성된 서비스 매출 비중이 2023년 기준 26%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연간 15%의 안정적 성장률을 기록하며 영업이익률을 25%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했습니다.
③ 글로벌 고객사와의 강력한 협업 체계
북미 A사(애플)와의 10년 이상의 협력 관계를 기반으로, 중국 화웨이·샤오미, 대만 폭스콘 등으로 고객층을 확장했습니다. 2024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은 82%에 달하며, 글로벌 공급망 재편 시장에서 유리한 고지에 있습니다.
1-3 사업계획
① 인도 시장 공략을 위한 생산라인 확충
2024년 설립한 인도 현지법인을 통해 연간 50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진행합니다. 애플의 인도 생산 비중이 2027년까지 50%로 확대될 예정인 점을 고려할 때, 현지 검사장비 수요 증가를 선점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② AI 기반 검사솔루션 도입으로 기술 고도화
폴더블폰의 내구성 검사에 머신러닝 기술을 접목한 'AI 비전 시스템'을 2025년 상반기 출시할 계획입니다. 기존 대비 검사 정확도를 98%에서 99.5%로 향상시키고, 공정 시간을 20% 단축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③ 반도체·바이오헬스 분야의 신규 성장동력 창출
반도체 후공정 검사장비 분야에서 라운텍과 협업해 2025년 300억 원 규모 매출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PCR 검사 자동화 장비 시장에 진출하며, 2027년까지 비스마트폰 사업 비중을 40%까지 확대할 예정입니다.
2. 덕산네오룩스 213420 현재주가>>>
2-1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블랙 PDL의 독점 공급 가능성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인 블랙 PDL(Pixel Define Layer)을 덕산네오룩스가 삼성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에 공급한 실적을 바탕으로, 애플 폴더블에도 동일 기술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블랙 PDL은 소비전력 감소와 디스플레이 두께 최소화에 필수적이며, 애플이 2026년 출시 예정인 폴더블 아이폰에 이 소재를 채택할 경우 덕산네오룩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② M&A를 통한 사업 다각화
최근 덕산네오룩스는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지분 59.7%를 인수하며 산업용 펌프 사업에 진출했습니다. 이는 OLED 사업의 경기 변동성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전략으로, 안정적인 현금흐름 확보를 통해 R&D 및 신사업 투자 여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③ IT OLED 시장 성장 대비
스마트폰 외에도 태블릿, 노트북 등 IT 기기용 OLED 수요가 증가하면서, 덕산네오룩스의 OLED 소재 공급량 확대가 예상됩니다. 특히 애플의 OLED 탑재 아이패드 출시와 갤럭시 북 시리즈 확대는 동사의 실적 상승을 견인할 주요 변수입니다.
2-2 사업특징
① OLED 유기재료 분야의 기술 선도성
덕산네오룩스는 정공수송층(HTL), 레드 발광층(Red Host) 등 OLED 핵심 소재를 국산화한 유일한 기업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와의 오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았으며, 최근 블랙 PDL로 비발광 소재 시장까지 영역을 확장했습니다.
② 고객사 맞춤형 R&D 역량
고객사의 요구 사항에 맞춘 소재 개발을 위해 매년 매출의 10% 이상을 연구개발비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특히 폴더블 디스플레이에 최적화된 CoE(Color filter on encapsulation) 기술 개발로 애플과의 협업 가능성을 높였습니다.
③ 글로벌 공급망 강화
삼성디스플레이 외에도 중국 BOE, CSOT 등 패널 업체와의 협력을 확대하며 해외 매출 비중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습니다. 이는 단일 고객사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신시장 개척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2-3 사업계획
① 비발광 소재 시장 공략 가속화
블랙 PDL 외에도 무편광 기술, 텐덤 구조 소재 등을 개발해 폴더블 및 IT OLED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2025년까지 비발광 소재 매출 비중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② M&A를 통한 성장 동력 확보
현대중공업터보기계 인수를 시작으로 에너지, 원자력 분야의 안정적 수익 사업을 추가해 OLED의 경기 순환성 리스크를 완화합니다. 또한 해외 유망 기업 인수를 검토 중이며, 이를 통해 기술 시너지 창출을 노립니다.
③ 중국 시장 적극 진출
중국 내 OLED 패널 생산량 증가에 대응해 현지 공급망을 강화합니다. 특히 화웨이, 샤오미 등 현지 스마트폰 업체와의 협력을 확대하며, 2026년까지 중국 매출 비중을 40%까지 끌어올릴 예정입니다.
3. 비에이치 090460 현재주가>>>
3-1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애플 공급망 내 경연성 인쇄회로기판(FPCB) 독점적 지위
비에이치는 애플의 아이폰 디스플레이에 탑재되는 FPCB를 삼성디스플레이를 통해 공급하는 핵심 협력사입니다. 2024년 기준 삼성디스플레이 내 애플향 FPCB 점유율이 80%를 넘어섰으며, 이는 폴더블폰에서도 동일한 공급 라인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대감이 높습니다. 특히 폴더블폰은 일반 스마트폰 대비 2배 이상의 FPCB가 필요하므로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②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술력 검증
비에이치는 2023년 삼성 갤럭시 Z폴드 시리즈의 카메라 모듈용 FPCB를 납품하며 폴더블 기술력을 입증했습니다. 또한 2024년 애플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공급 계약에 참여한 삼성디스플레이와의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2025년 폴더블 아이폰 출시 시 공급망 선정 가능성이 큽니다.
③ 글로벌 경쟁사 대비 높은 수익성
2024년 3분기 기준 비에이치의 영업이익률은 11.1%로, 경쟁사인 인터플렉스(약 5%) 대비 우수한 수익성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애플의 엄격한 품질 검수 기준을 충족하며 장기적 협력 관계를 구축한 결과로, 폴더블 아이폰 생산 확대 시 추가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3-2 사업특징
① FPCB 시장 선점을 통한 기술 리더십
비에이치는 국내 최대 FPCB 전문 기업으로, 2024년 기준 월 420km² 규모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애플의 LTPO(저온 폴리실리콘) 기술 적용 모델에 필요한 고성능 FPCB를 독점 공급하며, 2025년 출시 예정인 아이폰 17에도 동일한 기술이 확대 적용될 전망입니다.
② 다양한 고객사 포트폴리오
애플(매출 비중 70%), 삼성전자, LG전자 등 글로벌 IT 기업과의 오랜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2024년 하반기에는 BOE 등 중국 패널 업체의 시장 진출이 제한되면서 북미 고객사 의존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③ 수익성 개선을 위한 구조 조정
2023년 인수한 BH EVS(전장 사업부문)의 턴어라운드를 성공시켜 2024년 1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8.5%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기차 무선충전 모듈 사업의 본격화와 베트남 공장의 원가 효율화 덕분으로 평가받습니다.
3-3 사업계획
① IT OLED 시장 선점을 위한 기술 투자 확대
2025년 상반기 출시 예정인 아이패드 프로 OLED 모델에 FPCB를 본격 공급할 계획입니다. 태블릿용 OLED는 스마트폰 대비 패널 면적이 3~4배 크며, 단가 역시 4배 이상 높아 매출 증대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폴더블 디바이스 대응 생산 라인 구축
2026년까지 폴더블폰용 FPCB 생산을 위한 베트남 5공장 증설을 완료할 예정입니다. 특히 애플의 2027년 목표인 폴더블폰 2,000만 대 출하에 대비해 기존 설비 대비 30% 증산할 계획입니다.
③ 전장(電裝) 사업 다각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
자회사 BH EVS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용 FPCB 공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4년 기준 아우디, 볼보에 납품을 시작했으며, 2025년까지 전장 사업 매출 비중을 15%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4. 이녹스첨단소재 272290 현재주가>>>
4-1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필름 소재 기술 보유
이녹스첨단소재는 OLED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패턴드 필름과 커버레이 필름을 생산하며, 삼성디스플레이·LG디스플레이 등 주요 패널 업체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특히 폴더블 스크린에 필수적인 유연성과 내구성을 갖춘 소재 개발 역량을 인정받아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 및 애플의 후속 모델 공급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높습니다.
② 애플 공급망 다각화 전략 수혜 기대
신한투자증권 보고서에 따르면, 이녹스첨단소재는 2025년 아이폰 SE4 및 아이폰 17 시리즈부터 LTPO 패널용 소재 점유율 확대가 예상됩니다. 기존 LTPS 패널 대비 전력 효율성이 높은 LTPO 기술 도입 확대 흐름에 발맞춰 실적 성장세를 이어갈 전망입니다.
③ 재무적 안정성과 성장성 병행
2024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5.8% 증가한 868868억 원을 기록하며, 2025년에는 1,0001,000억 원대 돌파가 예상됩니다. 퀀트 재무 평가에서도 성장성·수익성·안정성 지표가 업계 평균을 상회하며 투자 유인책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2 사업특징
① OLED 소재 분야 강점
주요 고객사인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에 대형 OLED TV용 광학필름을 공급하며, 최근 QD-OLED 패널 시장 진출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했습니다. 2024년 4분기 매출의 55%를 OLED 사업부가 차지하며 핵심 수익원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②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
IT소재(INNOFLEX), 반도체 패키징 소재(INNOSEM), OLED 소재(INNOLED)로 사업을 세분화해 리스크를 분산했습니다. 특히 반도체용 방열 소재는 AI 반도체 수요 증가에 따른 성장 동력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일본 업체들이 독점하던 고부가 소재 시장에서 국산화를 주도했습니다. 폴더블폰용 투명접착필름(OCA) 개발을 완료해 2025년 하반기 양산을 앞두고 있으며, 이는 애플 공급망 진입의 관건으로 평가받습니다.
4-3 사업계획
① 폴더블 소재 신규 고객사 확보
2025년 2분기 중화권 스마트폰 업체를 대상으로 폴더블 기기용 필름 테스트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삼성 갤럭시 Z 폴드 시리즈 외에도 화웨이·샤오미 등 중국 브랜드 수주 확대를 통해 시장 점유율을 높일 방침입니다.
② 2차 전지 소재 사업 진출
수산화리튬 생산라인 건설을 진행 중이며, 2026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전기차 배터리 수요 증가와 탈중국화 추세를 활용해 매출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③ 고객사별 맞춤형 기술 지원
애플의 LTPO 패널 전환에 대응해 소재 두께와 유연성을 개선한 신제품을 개발 중입니다. 현대모비스와의 협업을 통해 자동차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시장 진출도 모색하고 있습니다.
5. 덕우전자 263600 현재주가>>>
5-1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카메라 모듈 부품 공급 이력
덕우전자는 모바일 카메라모듈용 정밀 부품을 오랫동안 생산해 왔습니다.. 특히, 애플의 기존 제품에 스티프너와 브라켓을 공급하며 신뢰를 쌓았습니다. 폴더블 아이폰의 카메라 모듈은 기존보다 더 정밀한 부품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덕우전자의 기술력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이 기대됩니다.
② 글로벌 공급망 참여 가능성
덕우전자는 삼성전자와 LG이노텍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경험이 풍부합니다. 최근 애플이 폴더블폰 부품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국내 업체들과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덕우전자의 기존 공급 실적이 경쟁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카메라 모듈 분야에서의 기술 검증이 이루어져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③ 신기술 개발 투자
덕우전자는 최근 반도체 장비용 E-curtain 기술 개발에 성공하며 기술 역량을 입증했습니다. 이 기술은 폴더블폰의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핵심 공정에 활용될 수 있어, 향후 애플의 신제품에 적용될 경우 수혜가 예상됩니다. 또한, 김천에 신규 공장을 건설하며 생산 능력을 확보한 점도 긍정적입니다.
5-2 사업특징
① 정밀 부품 제조 전문성
덕우전자는 30년 이상 축적된 프레스 성형 기술을 바탕으로 초소형 카메라모듈 부품을 생산합니다. 스티프너와 브라켓은 카메라 모듈의 내구성과 소형화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국내외 고객사로부터 꾸준한 수주를 받고 있습니다.
② 다양한 산업 분야 진출
모바일 부품 외에도 자동차 전장 부품 사업을 확장 중입니다. ABS 모터와 EPS 모터 부품을 생산하며 전기차 시장 성장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2차전지 부품 사업에 진출해 사업 다각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③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중국, 멕시코, 폴란드 등 해외 현지 법인을 통해 글로벌 공급망을 구축했습니다. 이는 애플을 비롯한 글로벌 기업의 현지 생산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으로 평가받습니다.
5-3 사업계획
① 폴더블폰 부품 사업 강화
덕우전자는 폴더블폰용 카메라 모듈 부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 애플의 폴더블 아이폰 출시에 대비해 신규 생산 라인을 증설하며 공급량 확대를 준비 중입니다. 관련 특허 출원도 활발히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② 2차전지 부품 사업 확장
김천 신규 공장에서 22차 전지 부품 생산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전기차 시장 성장에 발맞춰 배터리 케이스와 충전 모듈 부품 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향후 매출 증대가 기대됩니다.
③ 반도체 장비 분야 진출
E-curtain 기술을 활용한 반도체 장비 부품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이 기술은 EUV 공정에서 펠리클을 대체할 수 있어 반도체 업계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칼 자이스와의 협력을 통해 상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6. 와이엠티 251370 현재주가>>>초
6-1 폴더블 아이폰 관련주로 포함된 이유
①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화학소재 기술 보유
와이엠티는 FPCB(연성 인쇄회로기판) 및 RF-PCB(강연성 인쇄회로기판) 생산에 필수적인 최종표면처리 화학소재 분야에서 20년 이상의 노하우를 축적했습니다. 특히 애플의 폴더블폰 개발에 필요한 미세 회로 형성을 위한 도금 기술은 일본 미쓰이금속의 독점을 깨고 국산화에 성공하며 경쟁력을 입증했습니다. 2024년 3분기 기준 화학소재 사업이 전체 매출의 59.1%를 차지할 정도로 핵심 사업 역량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② 반도체 패키지 기판 소재의 사전 확보
폴더블 기기의 성능 향상을 위해 고성능 반도체 채택이 필수적인 만큼, 와이엠티는 반도체 패키지 기판용 도금 소재 개발에 주력해 왔습니다. 2023년 하반기부터 인텔·AMD의 주요 협력사인 대만 TSMC에 샘플을 납품하며 기술 검증을 완료했고, 2025년 상반기 양산 계약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는 폴더블 아이폰의 AP(응용프로세서) 생산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포지션입니다.
③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 전략
삼성전기·LG이노텍 등 국내 기업뿐만 아니라 대만 폭스콘, 중국 BYD 등 해외 주요 PCB 제조사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했습니다. 2024년 기준 해외 매출 비중이 45%를 상회하며, 다각화된 공급망을 통해 애플의 폴더블 기기 생산라인 진입 시 유리한 고지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특히 베트남 현지 법인을 통한 동도금 가공 서비스 확대는 애플의 아시아 생산 거점 연계에 최적화된 전략입니다.
6-2 사업특징
① 수직 계열화를 통한 원가 경쟁력
화학소재 개발부터 기판 가공·장비 제조까지 자체적인 생태계를 구성해 원가 효율성을 극대화했습니다. 자회사 와이피티를 통해 고객사로부터 FPCB를 제공받아 동도금 처리 후 재납품하는 One-Stop 서비스는 생산 리드타임을 30% 단축시키며 애플의 JIT(Just-In-Time) 생산 방식에 부합합니다.
② R&D 집중 투자를 통한 기술 선점
연간 매출의 7% 이상을 연구개발에 할당하며 차세대 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폴더블 기기용 초박형 EMI 차폐필름 개발을 완료했으며, 해당 제품은 삼성 갤럭시 Z 폴드6에 최초 적용된 후 애플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특히 UTG(초경량 강화유리) 대체 소재로 주목받는 CPI(투명폴리이미드) 필름의 로컬라이징 기술 확보를 위해 2025년까지 120억 원 규모의 추가 투자를 예고했습니다.
③ 수익성 중심의 포트폴리오 전환
2023년까지 매출 주력이었던 FPCB용 저부가 소재 비중을 40%에서 25%로 축소하는 대신, 극동박(Copper Foil) 및 반도체 패키지용 고부가 소재 비중을 35%까지 끌어올렸습니다. 이는 동사가 2024년 1분기 영업이익률을 전년 대비 3.2%p 상승시킨 주요 요인으로, 폴더블 기기 시장 성장기에 맞춰 수익성 개선에 성공한 사례입니다.
6-3 사업계획
① 반도체 기판 소재 시장 공략 확대
FC-BGA(볼 그리드 어레이) 기판 생산에 필수적인 극동박의 연간 생산량을 2025년 42만㎡에서 2026년 65만㎡로 55% 증설할 계획입니다. 이미 미국 퀄컴의 5G 모뎀칩 양산에 공급을 시작했으며, 2026년 애플의 자체 개발 모뎀칩 적용 시 테스트베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위해 2025년 2분기까지 3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조달이 예상됩니다.
② 폴더블 특화 소재의 해외 시장 진출
베트남 하노이 공장에 연산 800만 대 규모의 폴더블 기기용 OCA(광학접착제) 전용 라인을 구축 중입니다. 2025년 3분기 가동을 목표로 하며, 애플의 주요 조립 파트너인 폭스콘·펩트론의 베트남 생산라인과의 연계를 통해 수주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OCA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접힘 내구성 향상에 필수적인 소재로, 시장 성장률이 연평균 2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③ B2C 사업부문의 전략적 재편
2024년까지 매출의 15%를 차지했던 보건용 마스크 원단 사업을 완전 매각하고, 자원을 첨단소재 개발에 집중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발생한 120억 원의 자금을 AI 반도체용 방열소재 개발에 투입할 예정이며, 2025년 말까지 샘플 납품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이는 폴더블 기기의 발열 문제 해결을 위한 선제적 대응으로 평가됩니다.
유리기판 관련주, 글로벌 빅테크 도입 속도전
유리기판 관련주, 글로벌 빅테크 유리기판 사업화 속도전 유리기판 관련주는 제2의 엔비디아로 불리는 브로드컴과 인텔, AMD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차세대 반도체 기판인 유리기판을 도입
intap365.com
양자암호통신 관련주, KT 통합 관제 플랫폼 구축
양자암호통신 관련주, KT 통합 관제 플랫폼 구축 양자암호통신 관련주는 KT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하는 개방형 양자 테스트베드 구축-운영 사업에서 다
intap365.com
드론 관련주, 中 신형전투기에 일론 머스크 '美 장거리 드론 필요'
드론 관련주, 中 신형전투기에 일론 머스크 '미국은 대량의 장거리 드론이 필요하다"드론관련주는 중국이 개발 중인 6세대 스텔스 전투기로 추정되는 사진이 올라온 X게시글에 일론 머스크는 미
intap365.com
'오늘의 특징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동 의료기기 관련주 4종목, 작년 수출 8000만 달러 (0) | 2025.02.11 |
---|---|
현대차 전고체 배터리 5종목 (4) | 2025.02.10 |
SK 로봇 관련주 5종목, 인텔리전트 팩토리 구축에 투입 (8) | 2025.02.10 |
AI 반도체 유리기판 관련주 관련주 5종목 (0) | 2025.02.10 |
삼성 스마트폰 관련주, 갤럭시S15 사전 판매 130만대 신기록 (6) | 2025.02.08 |
오픈AI 반도체 관련주 6종목, 데이터센터 추가 건설 (2) | 2025.02.08 |
오픈소스 온디바이스AI 관련주 6종목, 오픈AI 폐쇄형 전략 수정 (10) | 2025.02.07 |
의료용 챗GPT 관련주 6종목, 의료 분야 AI 접목 (4)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