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항암제 관련주는 미국암학회 AACR에 한국의 기업들이 참여 하면서 관련종목들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참여하는 기업들은 차세대 항암기술들을 소개하고 기술이전 및 제휴등 사전 프로모션을 진행한 결과를 발표하며 계약을 진행 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美암학회 '韓 제약사'···폐암·ADC·이중항체 '눈길'
국내 유수 제약·바이오 업체들이 세계 3대 암학회 ‘미국암연구학회(AACR) 2024’에 참여해 항암 분야 임상 연구 성과를 알렸다.10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50여개 제약바
www.dailymedi.com
1. 제일약품 271980
1-1 연관성
- 제일약품의 자회사인 온코닉테라퓨틱스는 '미국암연구학회 (AACR) 2024’에서 차세대 이중저해 표적항암제 신약 후보물질인 '네수파립 (기존 명칭 JPI-547/OCN-201)'에 대한 2건의 포스터를 발표했습니다.
- 네수파립은 **파프 (PARP)**와 **탄키라제 (Tankyrase)**를 동시에 저해하는 이중 기전을 가진 신약 후보물질로, 1세대 파프 억제제로 치료 후 나타날 수 있는 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항암신약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 이는 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진전을 의미하며, 제일약품의 연구개발 역량과 혁신적 접근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1-2 사업특징
- 고지혈증 치료제: 제일약품은 고지혈증 치료제인 리피토를 생산 및 판매하며, 이는 회사의 주요 매출원 중 하나입니다.
- 신경병성통증치료제: 뉴론틴과 같은 신경병성통증치료제를 포함하여 다양한 의약품을 제공합니다.
- 파이프라인 다양성: 뇌졸중 치료제, 항암제, 당뇨병 치료제 등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나타냅니다.
1-3 사업계획
- R&D 투자 확대: 매출액 대비 약 15%를 연구개발에 투자하며, 이 비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 글로벌 제휴: 글로벌 제약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R&D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신약 개발: 혁신신약 및 개량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1-4 전망
- 영업이익 흑자전환: 최근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회사의 수익성 개선을 나타냅니다.
- 매출액 증가: 전년 대비 매출액이 소폭 증가하였으며, 이는 안정적인 성장세를 보여줍니다.
- 연구개발 성과: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통해 신약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적인 성장을 위한 기반이 됩니다.
2. 네오이뮨텍 950220
2-1 연관성
- 네오이뮨텍은 AACR에서 NT-I7(성분명 에피넵타킨 알파)과 대장암 1차 표준치료제인 폴폭스(FOLFOX)의 병용투여 효능을 대장암 동물 모델에서 검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이 연구는 폴폭스 단독 투여 대비 큰 항암 효능을 보여주며, 특히 종양 내 항암 특이적 T세포의 수가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2-2 사업특징
- T세포 증폭 기능: NT-I7은 T세포의 증폭을 유도하는 차세대 면역 항암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 First-in-Class 약물: NT-I7은 First-in-Class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분류되며, 현재 임상 1b/2a 단계에 있습니다.
- FDA 희귀의약품 지정: NT-I7은 췌장암 대상으로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았으며, 이는 연구 개발에 대한 세금 감면, 허가 심사 비용 면제 등의 혜택을 받게 됩니다.
2-3 사업계획
- 면역 항암제 개발: T세포 중심의 차세대 면역치료 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암종에 대한 연구: NT-I7의 치료 효과를 대장암 외에도 교모세포종, 췌장암 등 다른 암종에서 확인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임상 시험 진행: 다국적 임상 시험을 통해 NT-I7의 효능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2-4 전망
- MSS 대장암 치료제 개발: MSS 대장암에서 키트루다와의 병용 2a상 임상에서 반응기간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습니다.
- T세포 증폭 면역항암제 개발 진행: NT-I7을 중심으로 한 T세포 증폭 면역항암제 개발이 계속해서 진행 중입니다.
3. 싸이토젠 217330
3-1 연관성
- 싸이토젠은 AACR에서 순환종양세포(CTC) 기반의 전립선암 변이 이중확인 진단법을 포함한 4가지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기술들은 특히 폐암, 전립선암 등 조직생검이 어려운 종양에서 액체생검을 활용하여 진단 영역을 확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3-2 사업특징
- 고밀도미세다공(HDM) 칩 기술: 싸이토젠은 혈액에서 CTC를 세포단위로 분리해내는 고밀도미세다공(HDM) 칩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액체생검 상업화: 회사는 CTC 액체생검 상업화를 진행 중이며, 이는 암 진단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합니다.
-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 싸이토젠은 미국 및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3 사업계획
- Liquid Biopsy 플랫폼 개발: 자체 개발한 Liquid Biopsy 플랫폼을 활용하여 제약사를 대상으로 바이오마커 발굴 및 CDx개발 사업을 전개 중입니다.
- CTC 기반 진단 서비스 개발: CTC 기반의 Liquid Biopsy를 이용한 진단 서비스 및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글로벌 진출: CTC 기반 액체생검사업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미국, 일본 등의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3-4 전망
- 매출 성장 기대: 싸이토젠은 CTC분석 플랫폼 기술에 대한 호평을 받으며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 주가 상승 여력: 분석에 따르면 싸이토젠의 주가는 고점까지 상승할 여력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 글로벌 수주 증가: 글로벌 수주가 증가하며 회사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4. 큐리언트 115180
4-1 연관성
- 큐리언트는 최근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항암 후보물질 'Q901’을 선보였습니다. 이 물질은 CDK7 저해에 의한 발암 유전자 전사 조절 기전을 통해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고, ADC(항체-약물 접합체)와 병용할 때 시너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발표되었습니다.
- Q901은 특정 발암 유전자 군에 한정된 RNA 중합효소의 전사 개시를 억제하는 새로운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암 치료에 있어서 중요한 진전을 나타내는 발견입니다.
4-2 사업특징
- 항암제 파이프라인: 큐리언트는 다양한 항암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항암제 임상 성과 및 기술이전 모멘텀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 결핵 치료제 개발: 결핵 2b상 개시를 포함하여 다제내성 결핵 치료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 연구개발 역량: 한국 파스퇴르연구소에서 분사한 배경을 가진 큐리언트는 강력한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4-3 사업계획
- 약제내성 결핵 치료제 Q203: 임상 1B상을 성공적으로 마친 후, 국립 마산 병원 연구진과 함께 임상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Q301: 이외에도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Q301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항암면역/내성암 치료제 Q701: 항암면역 및 내성암 치료제 Q701을 포함한 여러 프로그램을 개발 단계에 두고 있습니다.
4-4 전망
- 주가 상승 전망: 최근 분석에 따르면, 큐리언트의 주가는 상승세를 보이며, 시장에서 긍정적인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 파이프라인 가치: 시장은 큐리언트가 보유 중인 파이프라인들에 대한 충분한 가치 반영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재평가가 기대됩니다.
- 이동평균선 정배열: 큐리언트의 이동평균선이 정배열 상태를 보이며, 주가가 20일 이동평균선을 상회하는 등의 긍정적인 기술적 분석 결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5. 파로스아이바이오 388870
5-1 연관성
- 파로스아이바이오는 AACR에서 주요 항암제 파이프라인인 'PHI-101’과 'PHI-501’에 대한 생체 내 효능 연구 결과를 포스터 발표했습니다.
5-2 사업특징
-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 '케미버스 (Chemiverse)'를 통한 희귀&난치성 질환치료제 개발.
- 파이프라인 확보: 다양한 희귀&난치성 질환치료제 중심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R&D 역량과의 시너지: AI 신약개발 플랫폼과 연구개발(R&D) 역량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5-3 사업계획
- PHI-101-OC 임상시험: 재발성 또는 불응성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임상 1상 시험을 진행 중이며, 병용요법 개발을 통해 타겟 환자군을 확장하는 개발도 진행 중입니다.
- 희귀질환 치료제 상용화: 임상 2상 후 조건부 품목허가를 통해 조기 상용화 수익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임상 2상 진입 계획: 2024년 하반기에 미국과 호주, 국내에서 임상 2상에 돌입할 예정입니다.
5-4 전망
- 임상 1상 종료 및 2상 진입: 2024년 상반기에 PHI-101의 임상 1상 시험을 종료하고, 하반기에 임상 2상에 돌입할 계획입니다.
- 조건부 품목 허가 신청: 2025년경 PHI-101의 임상 2상을 마무리하고 조건부 품목 허가를 신청하여 조기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FLT3 유전자 변이 환자 대상: FLT3 유전자 변이를 보이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게 PHI-101을 적용하여 생존율 향상과 재발 위험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6. 연관 의료 관련주 바로 확인하기
비대면 진료 관련주 6종목 ( 법개정 추진 )
비대면 진료 관련주는 정부가 시범사업 형태로 비대면 진료를 이어가고 있지만 원격 약품 배송 등 제한되는 등, 비대면 진료와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들을 법 개정에 반영한다고 하여 관련주들
intap365.com
의료기기 관련주 6종목 ( 아랍헬스2024 참가 )
의료기기 관련주는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에서 열리는 국제 의료기기 전시회 '아랍헬스 2024'에 국내 기업 약 200곳이 참가하며, 180개 국가에서 3,450여 개의 기업이 참여/ 출품할 예정이라는 뉴스
intap365.com
비만치료제 관련주 6종목 ( GLP-1 비만치료제 시장 130조원)
비만치료제 관련주는 세계 비만 인구가 2030년 10억 명에 달하고 비만치료제 시장이 130조 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비만치료제 개발 경쟁이 뜨겁게 이루어졌으며, 특히 노보노디스크가
intap365.com
'키워드 이슈 관련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율주행 관련주 6종목 ( 현대모비스 4단계 실증차) (0) | 2024.04.17 |
---|---|
비철금속 관련주 5종목( 미 영, 러시아산 수입 금지 ) (0) | 2024.04.16 |
전력설비 관련주 5종목 ( AI 수요 폭증, 구리값 추가 상승) (0) | 2024.04.14 |
뉴로모픽 관련주 6종목 (삼성, 엔비디아 2.5D 패키징 수주) (0) | 2024.04.14 |
태양광 관련주 5종목 ( 미국 EU , 중국 과잉생산 견제) (0) | 2024.04.11 |
자율주행 관련주 6종목 : 테슬라 로보택시 (0) | 2024.04.09 |
수소 저장 신소재 관련주 6종목 (1) | 2024.04.06 |
LPG 관련주 6종목 : LPG차 판매량 증가 (0) | 2024.04.05 |